반응형

노트북 HDMI 연결했는데 외부 화면이 안 나올 때? 이것만 확인하세요!

노트북 HDMI 연결했는데 외부 화면이 안 나올 때? 이것만 확인하세요!

 

“출장 와서 TV에 연결하려 했는데 화면이 안 나와요.”
“모니터 두 개 연결했는데 하나만 나와요. 왜죠?”
노트북 쓰시는 분들 중 한 번쯤은 겪어보셨을 겁니다. HDMI로 외부 모니터를 연결했는데 아무 반응이 없는 그 찝찝한 상황.

저도 예전에 회의 중에 외부 빔프로젝터 연결했는데 화면이 안 나와서 땀 삐질 흘렸던 기억이 나네요. 근데 의외로 해결은 간단했어요. 오늘은 그 방법을 아주 쉽게, 초보자도 따라할 수 있게 정리해볼게요.

 


1. 케이블 & 포트부터 점검!

가장 먼저 의심할 건 HDMI 케이블 자체입니다. 생각보다 불량이 꽤 많습니다.

  • 다른 모니터에 연결해보세요.
  • 포트에 먼지나 이물질이 껴 있진 않은지도 확인.
  • HDMI 포트가 흔들릴 경우 접촉 불량일 수도 있습니다.

참고로 이럴 땐 짧고 튼튼한 고품질 케이블이 더 안정적입니다.
혹시 모르니 1만 원대 중저가 케이블로 교체해보는 것도 추천드려요.


2. 윈도우에서 ‘디스플레이 모드’ 확인

HDMI 연결만 했다고 끝나는 게 아닙니다. 출력 모드 설정을 직접 바꿔줘야 할 때가 있어요.

방법:

  1. 키보드에서 윈도우 키 + P를 누릅니다.
  2. 아래처럼 4가지 모드가 뜨죠?
    • 화면 복제
    • 확장
    • 두 번째 화면만
    • PC 화면만
  3. 여기서 ‘복제’ 또는 ‘확장’ 선택 후 확인하세요.

이걸 몰라서 화면 안 나온다고 멘붕 오는 분들 정말 많습니다. 디폴트가 ‘PC 화면만’으로 되어 있는 경우, 당연히 외부 화면에 아무것도 안 나옵니다.


3. 디스플레이 설정에서 수동 감지하기

외부 화면이 자동으로 인식 안 되면, 수동으로 강제 인식시킬 수 있습니다.

  1. 바탕화면 → 우클릭 → 디스플레이 설정
  2. 아래로 내리면 “디스플레이 감지” 버튼이 있습니다.
  3. 클릭하면 HDMI로 연결된 외부 모니터를 수동으로 찾게 됩니다.

이 방법으로 인식된다는 분들 정말 많아요.


4. 그래픽 드라이버 업데이트는 필수

노트북 HDMI 출력은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상태에 따라 작동 유무가 갈립니다.
예전엔 잘 됐는데 갑자기 안 되는 경우? 대부분 드라이버 문제입니다.

최신 드라이버 다운로드 링크:

그래픽카드 종류는 장치 관리자(Win + X → 장치 관리자)에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5. BIOS 설정 체크 (고급자용)

정말 안 된다면 마지막으로 BIOS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설정이 비활성화돼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이건 메인보드 제조사마다 다르기 때문에 검색 시, 노트북 모델명 + “BIOS HDMI 설정”으로 검색하면 구체적인 가이드가 나옵니다.


6. 유튜브 영상으로 쉽게 따라하기

글로 보면 헷갈릴 수 있죠. 영상으로 보면 더 편합니다.
제가 자주 참고하는 채널 영상 추천드립니다:

이 영상 보시고 따라하시면 90% 이상은 해결됩니다.


마무리하며

노트북 HDMI 출력 문제는 생각보다 간단한 이유로 발생합니다.

  • 케이블 이상
  • 디스플레이 설정
  • 드라이버 문제

이 세 가지만 체크하면 대부분 해결 가능해요. 저도 출장이나 회의 때 자주 연결하다 보니 이제는 오히려 누가 안 되면 도와주는 수준까지 왔네요.

만약 정말 안 되면, HDMI 대신 USB-C to HDMI 어댑터를 사용해보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어요. 요즘은 USB-C가 더 안정적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