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이 자꾸 끊기고 느려지는데 왜 그러지?”
이럴 때 가장 먼저 떠올려야 할 게 바로 DNS 설정이에요.
사실 저도 예전엔 “DNS가 뭐지? 도넛 이름인가?” 싶었는데, 한번 제대로 알고 나니까 와이파이 속도도 확 좋아지고, 웹사이트 접속도 빨라졌어요.
오늘은 DNS가 뭔지, 왜 중요한지, 그리고 윈도우와 갤럭시에서 DNS 설정 바꾸는 법까지 아주 알기 쉽게 정리해볼게요.
DNS 뜻 – 뭔데 이렇게 중요한 거야?
DNS는 **Domain Name System(도메인 이름 시스템)**의 약자예요.
우리가 웹사이트 주소를 ‘www.naver.com’처럼 입력하면, 컴퓨터는 그걸 숫자로 된 IP 주소(예: 223.130.200.104)로 바꿔서 접속하거든요.
그 ‘주소 변환’을 해주는 게 바로 DNS 서버예요.
쉽게 말해서, DNS는 인터넷의 전화번호부 같은 거예요.
전화번호 몰라도 이름만 알면 연락 가능한 것처럼, 사이트 주소만 입력하면 알아서 찾아주는 똑똑한 기능이죠.
왜 DNS 설정을 바꿔야 할까?
기본적으로 우리는 인터넷 회사(ISP)에서 제공하는 DNS를 쓰고 있어요.
그런데 이게 가끔 너무 느리거나, 특정 사이트는 잘 안 열리는 경우도 생겨요.
이럴 땐?
DNS를 구글 DNS나 클라우드플레어 DNS 같은 빠르고 안정적인 서버로 바꿔주는 게 답이에요!
대표적인 무료 DNS:
- 구글 DNS
- 8.8.8.8
- 8.8.4.4
- 클라우드플레어 DNS (Cloudflare)
- 1.1.1.1
- 1.0.0.1
[윈도우 DNS 설정 방법] – 5분이면 끝!
- 바탕화면 하단의 네트워크 아이콘 우클릭 → ‘네트워크 및 인터넷 설정 열기’
- ‘어댑터 옵션 변경’ 클릭
- 사용하는 네트워크(예: Wi-Fi) → 우클릭 → ‘속성’
-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TCP/IPv4)’ 선택 → ‘속성’
- 아래쪽 ‘다음 DNS 서버 주소 사용’ 체크 후
- 기본 DNS 서버: 1.1.1.1
- 보조 DNS 서버: 1.0.0.1 입력
- 확인 누르고 종료!
정말 이거 하나만 바꿔도 웹사이트 로딩 속도가 체감될 만큼 빨라져요.
[갤럭시 DNS 설정 방법] – 모바일도 가능하다!
갤럭시 같은 안드로이드 폰에서도 DNS 바꾸는 게 가능해요.
다만, DNS 변경은 Wi-Fi 연결 상태에서만 가능해요.
- 설정 → 연결 → Wi-Fi
- 사용 중인 와이파이 옆에 있는 기어 모양 아이콘 클릭
- ‘고급’ → ‘IP 설정’을 ‘고정’으로 변경
- 아래로 내려 ‘DNS 1’, ‘DNS 2’ 항목에
- DNS 1: 1.1.1.1
- DNS 2: 1.0.0.1 입력
- 저장하고 나가면 끝!
정말 웃긴 건, 제가 이 설정 바꾸고 나서 와이파이 안 끊기고 유튜브 버퍼링도 확 줄었어요.
[DNS 설정이 귀찮다면?] 자동으로 해주는 앱도 있어요!
이런 설정이 너무 어렵거나 귀찮다면, DNS 자동 설정을 도와주는 앱도 있어요.
Cloudflare 공식 앱 – 1.1.1.1: Faster & Safer Internet
한 번 설치하면, 클릭 한 번으로 DNS를 안전하고 빠르게 바꿔줘요.
👉 [앱 다운로드 (안드로이드)]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cloudflare.onedotonedotone
👉 [앱 다운로드 (아이폰)]
https://apps.apple.com/kr/app/1-1-1-1-faster-internet/id1423538627
정리하자면!
- DNS는 인터넷의 전화번호부
- 느린 인터넷, 특정 사이트 오류 해결에 DNS 변경이 효과적
- 구글, 클라우드플레어 DNS 추천
- 윈도우와 갤럭시에서 직접 설정 가능
- 앱으로도 자동 설정 가능
한 번 바꿔두면 괜히 인터넷 빨라진 기분도 들고, 실제로 속도도 좋아져요.
특히 영상 스트리밍이나 웹서핑 자주 하시는 분들, 꼭 한번 시도해보세요.
진짜 은근한 꿀팁이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