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USB 인식 안될때

USB 인식 안될때, '이것'만 확인하세요! (포맷없이 5분 해결 5가지 방법)

중요한 발표 자료나 꼭 제출해야 할 과제가 담긴 USB를 컴퓨터에 꽂았는데, 아무런 반응이 없을 때. '띵' 하는 경쾌한 소리도, 새로운 드라이브 창도 뜨지 않고 그저 침묵만 흐를 때의 그 막막함과 식은땀 나는 기분, 다들 한 번쯤 경험해 보셨을 겁니다.

저 역시 얼마 전, 몇 년간 모아온 소중한 가족사진이 담긴 외장하드를 연결했는데 컴퓨터가 전혀 인식을 못 해서, 그 안의 모든 추억이 사라진 줄 알고 하늘이 무너지는 것 같았던 경험이 있습니다. 포맷을 해야 하나, 데이터를 포기해야 하나 온갖 나쁜 생각만 들었죠.

하지만 다행히도, 대부분의 'USB 인식 안될때' 문제는 기기의 물리적인 고장이 아니라 아주 간단한 설정 충돌이나 접촉 불량 때문인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여러분의 소중한 데이터를 지키면서, 포맷 없이 단 5분 만에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5가지 점검 방법을 단계별로 알려드리겠습니다.

목차

  1. 들어가며: 내 소중한 자료가 든 USB가 사라졌다?
  2. 1단계: 가장 기본, 하지만 가장 흔한 'USB 포트' 바꿔보기
  3. 2단계: '전원 부족' 확인하기 (특히 외장하드!)
  4. 3단계: 컴퓨터는 아는데 나만 모르는 '드라이브 문자' 할당하기
  5. 4단계: 윈도우와의 소통 오류 해결, '드라이버' 재설치
  6. 5단계: 최후의 진단, '다른 PC'에서 확인하기

1. 들어가며: 내 소중한 자료가 든 USB가 사라졌다?

USB 인식 실패는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흔한 문제입니다. 이럴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당황해서 성급하게 포맷 버튼을 누르지 않는 것입니다. 문제의 원인은 생각보다 훨씬 단순한 곳에 있을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가장 간단하고 확률 높은 방법부터 차근차근 점검을 시작하겠습니다.

2. 1단계: 가장 기본, 하지만 가장 흔한 'USB 포트' 바꿔보기

믿기 어려울 수 있지만, 'USB 인식 안될때' 문제의 상당수는 USB 기기가 아닌 컴퓨터의 특정 'USB 포트' 고장 때문입니다.

  • 해결책: 사용하던 포트에서 USB를 뽑아, 바로 옆이나 다른 위치에 있는 USB 포트에 꽂아보세요.
  • 꿀팁: 데스크톱 PC의 경우, 본체 앞쪽 포트보다는 뒤쪽 메인보드에 직접 연결된 포트가 더 안정적이고 인식률이 높습니다. 앞쪽 포트가 안된다면 반드시 뒤쪽 포트를 확인해보세요. 저도 앞쪽 포트 때문에 외장하드가 고장 난 줄 알고 식겁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3. 2단계: '전원 부족' 확인하기 (특히 외장하드!)

USB 메모리와 달리, 모터가 회전하는 외장하드는 생각보다 더 많은 전력을 필요로 합니다. USB 포트가 충분한 전력을 공급해주지 못하면 외장하드는 인식되지 않습니다.

  • 해결책 1: 전력이 부족한 USB 허브(특히 전원 어댑터가 없는)에 연결했다면, 반드시 컴퓨터 본체에 직접 연결해보세요.
  • 해결책 2: 외장하드 구매 시 2개의 USB 단자를 가진 Y자 케이블이 있었다면, 반드시 2개 모두 연결하여 보조 전력을 공급해주어야 합니다.

4. 3단계: 컴퓨터는 아는데 나만 모르는 '드라이브 문자' 할당하기

이것이 오늘 알려드리는 가장 핵심적인 꿀팁입니다. 컴퓨터는 USB를 정상적으로 인식했지만, 다른 드라이브(C:, D:)와의 충돌로 인해 화면에 보여줄 드라이브 이름(알파벳)을 할당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1. 키보드의 '윈도우 키 + X' 를 누른 뒤, 나타나는 메뉴에서 '디스크 관리'를 선택합니다.
  2. '디스크 관리' 창이 뜨면, 아래쪽 목록에서 내 USB 드라이브를 찾아보세요. '디스크 1' 또는 '이동식 디스크' 등으로 표시되어 있고, 용량이 보이지만 드라이브 문자(E:, F: 등)가 없을 겁니다.
  3. 해당 디스크의 네모 칸에 마우스 오른쪽 클릭 > '드라이브 문자 및 경로 변경'을 선택합니다.
  4. 새 창에서 '추가' 버튼을 누르고, 할당할 드라이브 문자를 선택한 뒤 '확인'을 누릅니다. 이 과정을 마치면, 마법처럼 '내 PC' 창에 보이지 않던 USB 드라이브가 나타날 것입니다.

5. 4단계: 윈도우와의 소통 오류 해결, '드라이버' 재설치

윈도우와 USB 기기 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프로그램(드라이버)에 일시적인 오류가 생겨 인식이 안 될 수도 있습니다. 드라이버를 초기화해주면 간단히 해결됩니다.

  1. '윈도우 키 + X' > '장치 관리자'를 실행합니다.
  2. 목록 맨 아래에 있는 '범용 직렬 버스 컨트롤러' 항목을 더블클릭하여 확장합니다.
  3. 목록에서 'USB 대용량 저장 장치' 또는 '알 수 없는 장치'(노란색 느낌표가 있을 수 있음)를 찾아 마우스 오른쪽 클릭 > '디바이스 제거'를 선택합니다.
  4. USB를 컴퓨터에서 분리했다가, 10초 뒤에 다시 연결합니다. 윈도우가 자동으로 깨끗한 새 드라이버를 설치하며 USB를 인식할 것입니다.

아래 영상은 오늘 설명드린 '디스크 관리'와 '장치 관리자' 설정 방법을 실제 화면으로 보여주어, 그대로 따라 하시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참고 영상: 인식 안되는 USB/외장하드 데이터 포맷없이 살리는 법 https://www.google.com/search?q=https://www.youtube.com/watch%3Fv%3Dc_ks_i22tYc4

6. 5단계: 최후의 진단, '다른 PC'에서 확인하기

위 4가지 방법을 모두 시도했음에도 USB 인식 안될때, 마지막으로 해볼 것은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보는 것입니다. 만약 다른 컴퓨터에서도 전혀 인식이 되지 않는다면, 안타깝지만 USB 기기 자체의 물리적인 고장일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하지만 다른 컴퓨터에서는 정상적으로 작동한다면, 문제는 내 컴퓨터의 윈도우 시스템이나 메인보드에 있으므로, 시스템 점검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제부터 USB가 인식되지 않더라도 당황하지 마세요. 오늘 알려드린 5단계 점검법을 차근차근 따라 해보시면, 대부분의 경우 여러분의 소중한 데이터를 안전하게 지켜낼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